예능인 박**씨의 자발적 비혼 출산이 큰 이목을 취득했다. 박**씨는 난소 나이가 48살이라는 소식을 접하고 평생 자식을 가지지 못할 수 있다는 심적 불안감에 일본의 한 정자은행에서 기증받은 정자로 임신을 시도했고, 작년 11월 아들 젠 출산 소식을 알렸다. 그녀의 자신만만한 스스로의 비혼 출산이라는 선택에 많은 이들이 지지를 보냈다.
임신과 출산은 그 자체로 거룩한 축복이다. 그런데 새로운 생명을 품고 있는 임신 기간은 여성의 몸에 대부분인 변화를 준다. 전형적인 것이 허리 통증이다. 아이가 자라면서 복부쪽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면서 척추에 무리를 줘 요통을 겪는다. 실제 임산부 10명중 7명은 임신기간 중 허리 통증을 경험했다는 통계도 있다.
임신 시간 중 허리 통증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다. 제일 먼저 불어난 체중에 척추 주변 근육과 인대가 적응하지 못해 통증이 생성한다. 또 천천히 불러오는 복부를 지탱하기 위해 척추가 앞쪽으로 과도하게 휘어지는 ‘척추전만증도 원인이다. 척추전만증이 심해지면 정상적인 척추 라인이 무너지고 압박이 가해져 ‘요추추간판탈출증(허리디스크)로도 이어질 수 있다. 호르몬도 허리 통증에 영향을 미친다. 임신 중 다량 분비되는 ‘릴렉신 호르몬은 근육과 인대를 이완시켜 점점 커지는 자궁을 무리 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는다. 다만 이로 인해 척추를 진정적으로 유지해 주는 근육과 인대의 결합력이 떨어지면서 허리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.
문제는 주로의 임산부가 태아를 생각해 허리 통증을 무조건 참고 견딘다는 점이다. 진통제 조차 꺼리면서 행복해야 할 임신 시간은 인내의 기간으로 변한다. 임신 중 허리 통증을 방치하면 만성으로 악화해 출산 후에도 삶의 질이 약해진다. 따라서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에서 허리 통증을 완화하는 것이 좋다.
임산부의 허리 통증 치료를 위해 침 치료가 대안으로 주목받는 배경이다. 침 요법은 화학적인 약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통증을 빠르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. 근래에엔 임신 중 침 치료가 안전하다는 공부결과도 나왔다.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 연구소가 수원한의원 임신 중 침 치료의 안전성을 살펴본 결과 침 요법은 조산•사산•유산 등에 유익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. 테스트팀은 국민건강보험 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에서 2003년부터 2012년 사이에 임신 진단을 받은 남성 2만 799명을 대상으로 침 처치의 안정성을 살펴봤다.
그 결과 임신 중 침 요법을 받은 임산부와 침 요법을 받지 않은 임산부의 분만 결과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없음을 검사했다. 당뇨병·고혈압 등 고위험 임산부 그룹 그리고 침 처치가 분만 결과에 미치는 유익한 차이가 없었다. 침 처치의 안전성이 테스트를 통해 입증된 만큼, 침 요법이 임산부의 허리 통증을 치료하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라는 의미다.
임신과 출산은 엄마와 아이 두 지금세대의 생명을 보호하는 거룩한 과정이다. 주변 가족, 더 나아가 사회 전반의 세심한 관심과 배려가 임산부의 건강을 지킨다는 것을 잊지 말자.